[JIRA 뜯어보기] 2. JIRA 페이지별 소개 - 요약
[JIRA 뜯어보기] 2. JIRA 페이지별 소개 - 요약
👽 JIRA 뜯어보기 기록집
🤔 Intro
- JIRA의 기능을 페이지별로 하나하나 뜯어보자!
😀 Start!
목표
- JIRA 사용법을 익힌다.
- JIRA의 “요약”페이지에 대해서 익힌다.
요약
- 요약(Summary) 창은 이슈를 클릭했을 때 나오는 상세 정보 화면의 상단 영역으로, 이슈의 핵심 내용을 빠르게 파악할 수 있게 도와준다.
- 실제로 한 번 살펴보기 위해 임시 에픽을 3개 만들고 살펴보자.
1. 상태 개요
- 이슈의 현재 상태와 현재 워크플로우에서의 위치를 보여준다.
- 기본은 해야 할 일 → 진행중 → 완료이다.
- 워크플로우를 커스텀으로 만들었을 경우, 다양한 단계가 존재할 수 있다.
2. 최근 활동
- 이슈에 대한 코멘트, 상태 변경, 파일 첨부, 담당자 변경 등 히스토리가 시간순으로 나열된다.
- 각 항목은 누가, 언제, 어떤 작업을 했는지가 기록된다.
3. 아직 활동이 없음
- 아직 해당 이슈에 댓글, 상태 변경, 작업 기록이 없을 때, 그 이슈를 표시한다.
- 차트의 밑에 있는
Highest
,High
,Medium
,Low
,Lowest
는 이슈의 우선순위를 말한다.
등급 | 의미 | 아이콘 |
---|---|---|
🟥 Highest | 가장 급함 – 즉시 처리 필요 | ⬆️ |
🟧 High | 중요 – 빠른 시일 내에 처리해야 함 | 🔼 |
🟨 Medium | 일반적 – 표준 처리 시간 내 완료 | ⬅️ |
🟦 Low | 덜 중요 – 나중에 처리해도 됨 | 🔽 |
🟪 Lowest | 거의 영향 없음 – 시간 여유 있음 | ⬇️ |
4. 업무 유형
- 이 이슈가 어떤 업무 성격인지 분류한 필드이다.
- 각 업무유형에 대한 간략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.
1. 에픽
- 가장 상위 개념의 업무 유형이다.
- 큰 목표나 기능 묶음, 여러 개의 스토리/작업으로 나뉜다.
- 보통 장기 작업(2주 이상)이거나 제품 기능 단위를 에픽으로 둔다.
- 예를 들면… “회원 시스템 구축”이나 “모바일 결제 기능 추가”등이 있다.
2. 버그
- 소프트웨어의 오류, 결함, 오작동을 추적하기 위한 이슈이다.
- 긴급한 경우 우선순위 높게 설정한다.
3. 스토리
- 사용자 입장에서 어떤 기능이 필요한지를 정의한 항목이다.
- 하나의 에픽을 구성하는 단위 기능이다.
- 말그대로, 요구사항 명세를 정리하는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.
- 예시로는 “사용자는 이메일로 로그인 할 수 있어야 한다”와 같은 것이 있음
4. 작업
- 스토리처럼 개발, 디자인, 기획 등 일반 업무에 사용한다.
- 스토리보단 기술적이고 실무적인 작업 단위에 가깝다.
- 비개발자(디자이너, 기획자)도 자주 사용한다.
- 예시로는 “디자인 시안 제작, DB 스키마 정리, 서버 모니터링 도구 연동..등이 있다.”
5. 하위 작업
- 위 4개(Task, Story, Bug 등)의 세부 단계로 쪼갠 이슈를 말한다.
- 독립적으로 실행되지 않으며, 부모 이슈 안에서 수행된다.
- 완료시 부모 이슈도 자동으로 완료 갱신된다.
- 예시
- 부모 이슈 (에픽) : 회원가입 기능 구현
- Sub-Task : 이메일 입력란 구현
- Sub-Task : 중복 체크 API 연동
- Sub-Task : UI 디자인 적용
- 부모 이슈 (에픽) : 회원가입 기능 구현
- 예시
6. 관계도 정리
1
2
3
Epic
└── Story / Task / Bug
└── Sub-task
- 에픽은 프로젝트의 큰 기능 묶음이다.
- 스토리/작업/버그는 그 에픽을 이루는 작업 단위이다.
- 하위작업은 더 쪼갠 작은 일들 이다.
5. 팀 워크로드
- 이슈가 어떤 팀원에게 할당되어 있고, 해당 팀원의 작업량이 얼마나 되는지를 보여준다.
- Advanced Roadmaps 또는 팀 기능을 활성화한 경우 표시된다.
- 리소스 관리 관점에서 유용하다.
- 팀원별로 어느정도의 작업량을 가지고 있는지를 보여준다.
This post is licensed under CC BY 4.0 by the author.